상록운수 관련사이트
지입전문카페
전국화물자동차운송사업자공제조합
한국도로공사
물류신문사
홈 >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자유 게시판 수정
제 목
작성자
이메일
* 지입차량을 시작하기전에 지입차량을 처음하려는 사람에게 있어서 차량 인도금의 많고 적음이 문제이기 보단 실제 그일이 존재하는지, 화주가 튼튼해서 일한만큼의 보수를 정당하고 지속적으로 받을수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계약서(화주와 운수회사)를 필히 원본으로 확인하시고 혹, 사본을 보여주거나 나중에 보여준다면 결정을 미루십시오. 만약 알선소라면 보여줄 방법이 없겠지만, 운수회사와 계열사라면 그 회사에서 받아 사본을 보여줄것입니다. 알선소 소개료는 통상 200만원 정도인데 좀 많은것 같고, 괜찮은 일이라면 개인 선택에 따라 절반정도는 줄수도 있을것입니다. 가능하다면 실제 계약당사자인 운수회사와 연결되는 것이 더 저렴하고 바람직한 일입니다. 한번더 확인코저 한다면 돈을(계약금 제외)주기전에 화주와의 면담을 요청하면 실제 물량이 있는지 확인할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거의 90%는 좋은 운수회사라 할수 있을 것입니다. * 차량 인도금 차를 처음 인수하고 일을 시작하려고 할때 운수회사와 위수탁계약서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차량 인도금 이외에 별도의 요금을 요구하는 회사는 곤란하다. 예를 들면 첫째, 어떤 명목이든 보증금을 예치하라는 회사는 곤란하다. 각종 사고에 대비해 보증보험 증권을 제출하라면 모르겠지만, 현금으로 몇 백만원씩 받아놓고는 나중에 잘되돌려 주려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둘째, T/O비를 요구하기도 한다. 차량의 인도금내에 운수회사에서는 몇십만원에서 일백만원정도까지 비용을 차주에게 추가 부담하게 한다. 이는 계약을 체결하기까지 사용된 각종 경비 및 영업비용이니까 어쩔수 없다하더라도 이외의 별도 T/O비 요구는 지나친것이라고 할수있다. 셋째, 중고차량을 차적 이전하여 일을 할 경우에는 실 이전비용외에 몇십만원정도는 영업비용이라고 볼수 있으나 오더비라고 하여 몇백만원씩을 요구하는것은 과도하다. 차량인도금을 결정할때 차주의 입장에서는 실비용을 따져보고 차량금액의 약10%정도까진 더 요구를 하더라도 이는 운수회사를 통해 일자리를 구한다는 것에 대한 비용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겠지만, 그이상의 금액으로 결정된다면 그만큼 과지출이 된다. * 운수회사 선택시 고려사항 운수회사 승패의 열쇠는 영업력에 있습니다. 4-5년전만 해도 운수회사는 영업용 번호판만 달아주는 회사가 많았다. 번호판값이 곧 지입료였고, 별도의 관리는 없었지만 지금은 아니다. 운수회사에서 직접 영업하여 화주를 찾고 계약하고 지입차주를 모집하며, 지속적인 화주와의 계약권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회사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본다. 번호판만 달아주고 지입료만 받는 회사는 문닫기 십상이다. 운수회사 선택시 그회사의 영업력은 꼭 확인해야 한다. 계약전에 필히 운수회사를 방문하여 질문도 하고 기존 거래처에 대해서도 물어보고 또한, 일하려고 하는 회사가 직접 영업한곳인지도 물어보고, 그화주에게도 확인해 보아야 안전하다. 특히, 그 회사의 홈페이지나 회사소개서도 꼼꼼히 보고 경력사항도 알아보되 지속적인 영업이(계약) 되어가고 있는지도 살펴야한다. 영업사원이 몇이나 되는 지도 슬쩍 물어본다. 어떤 방법으로든 확인해야 할것이 그회사의 영업력이다. 영업력이 없는 회사는 1-2년을 넘기지 못랄 것이라고 감히 확신한다.
비밀번호
(비밀번호는 영문자, 숫자 조합 4~8자 이내)
[ Intranet ]